라오스, 태국의 몽족 난민 7천 명 강제송환 결정
라오스정부의 학정을 피해 태국으로 밀입국한 몽족들 가운데 7천 여 명에 대해 태국 정부가 강제송환을 결정했고, 국제사회는 이를 비난하고 있다. 현재 군정이 진행되고 있는 태국군의 니움프라딧 태국군최고사령관은 2004년부터 현재까지 태국으로 들어온 몽족 7천 명 가량이 태국과 라오스 국경지대의 태국측 지역인 페차나분에 난민캠프를 형성하고 거주하고 있으나 어느 나라에서도 이들을 받아들이겠다고 희망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국으로 송환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. 니움프라딧 사령관은 이들의 송환작업은 신상명세서 작성 등 필요한 절차를 밟아야 하기 때문에 약 두달 가량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.
몽족은 종교적으로 기독교신자의 비율이 다른 종족에 비해 높을 뿐 아니라 라오족이 주도하고 있는 라오스에서는 소수종족이기 때문에 라오스 공산정부의 핍박의 대상이었다. 또 현재의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서기 전인 60년대와 70년대 초반, 당시의 정부를 지지하면서 현정부와 현정부의 후견인 격인 미국의 편에 서 있었고, 당연히 현정부와는 반대편에 서 있었다. 현재 몽족은 일부는 이들처럼 국외로 탈출했고, 또 다른 일부는 라오스 밀림지대를 무대로 반정부 무장투쟁을 벌이고 있다. 한편 태국정부의 송환방침에 대해 미국과 유엔 등은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. 공화당의 프랭크 울프 의원 등 하원의원 13명은 태국 국왕에게 서한을 보내 '이들의 송환은 곧 기아와 죽음을 의미한다'며 이들의 3국행이 결정될 때까지 태국 체류를 허용해 줄 것을 요구했다. 국무부와 UN난민고등판무관실, 국제사면위원회 등도 몽족이 송환되면 고문을 받고 인권 유린을 당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.
라오스정부의 학정을 피해 태국으로 밀입국한 몽족들 가운데 7천 여 명에 대해 태국 정부가 강제송환을 결정했고, 국제사회는 이를 비난하고 있다. 현재 군정이 진행되고 있는 태국군의 니움프라딧 태국군최고사령관은 2004년부터 현재까지 태국으로 들어온 몽족 7천 명 가량이 태국과 라오스 국경지대의 태국측 지역인 페차나분에 난민캠프를 형성하고 거주하고 있으나 어느 나라에서도 이들을 받아들이겠다고 희망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국으로 송환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. 니움프라딧 사령관은 이들의 송환작업은 신상명세서 작성 등 필요한 절차를 밟아야 하기 때문에 약 두달 가량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.
몽족은 종교적으로 기독교신자의 비율이 다른 종족에 비해 높을 뿐 아니라 라오족이 주도하고 있는 라오스에서는 소수종족이기 때문에 라오스 공산정부의 핍박의 대상이었다. 또 현재의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서기 전인 60년대와 70년대 초반, 당시의 정부를 지지하면서 현정부와 현정부의 후견인 격인 미국의 편에 서 있었고, 당연히 현정부와는 반대편에 서 있었다. 현재 몽족은 일부는 이들처럼 국외로 탈출했고, 또 다른 일부는 라오스 밀림지대를 무대로 반정부 무장투쟁을 벌이고 있다. 한편 태국정부의 송환방침에 대해 미국과 유엔 등은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. 공화당의 프랭크 울프 의원 등 하원의원 13명은 태국 국왕에게 서한을 보내 '이들의 송환은 곧 기아와 죽음을 의미한다'며 이들의 3국행이 결정될 때까지 태국 체류를 허용해 줄 것을 요구했다. 국무부와 UN난민고등판무관실, 국제사면위원회 등도 몽족이 송환되면 고문을 받고 인권 유린을 당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.
'선교현장뉴스 > 라오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라오스의 몽족 기독교인, 박해 피해 태국으로 / 2006-10-12 (0) | 2011.11.08 |
---|